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는 독일의 시인이자 에세이스트로, 1929년 카우프보이렌에서 태어나 2022년 사망했다. 그는 47 그룹의 일원이었으며,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며 여러 문학 잡지를 편집했다. 그의 작품은 사회 비판적인 경향을 보이며, 시, 에세이, 소설, 어린이 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했다. 또한, 그는 시 자동 기계를 발명하고, 1996년 독일어 철자 개혁 등을 비판하기도 했다. 엔첸스베르거는 여러 상을 수상했으며, 작품은 4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부르크 대학교 동문 - 헬무트 슈미트
헬무트 슈미트는 1974년부터 1982년까지 서독의 연방총리를 지낸 독일 정치인으로, 동서독 화해 정책을 계승하면서 서방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유럽 통합에 기여했으며, 경제 위기와 테러에 단호하게 대처하여 서독의 안정을 유지했으나 연정 파트너와의 갈등으로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독일 정치사에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함부르크 대학교 동문 - 하랄트 추어 하우젠
하랄트 추어 하우젠은 인유두종바이러스가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임을 밝혀내 200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바이러스학자로서, HPV 16과 18이 전 세계 자궁경부암 환자의 약 70%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여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 개발에 기여했다. - 게오르크 뷔히너상 수상자 - 귄터 그라스
1999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귄터 그라스는 『양철북』을 비롯한 단치히 삼부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즘의 영향을 다룬 독일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조각가이며, 무장친위대 복무 논란에도 불구하고 나치 과거 청산과 사회 정의를 위해 활동하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게오르크 뷔히너상 수상자 - 프리드리히 뒤렌마트
스위스의 극작가이자 소설가인 프리드리히 뒤렌마트는 정의, 죄, 책임 등의 주제를 그로테스크하고 유머러스하게 다룬 작품들과 서사극 이론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후 사회의 인간 본성과 시스템 모순을 파헤쳤다.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동문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는 1889년에 태어나 1976년에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이며, 현상학과 실존주의, 언어와 기술 비판을 탐구했고, 대표작으로 『존재와 시간』이 있으며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나치즘 협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동문 - 박은정 (1952년)
박은정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법철학 분야에서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대학교수로, 이화여자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한국법철학회 회장, 아시아생명윤리학회 부회장 등을 지냈고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겸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자연법, 생명윤리, 인권, 민주주의 등에 대한 연구와 저술 활동으로 학술상과 훈장을 수상했다.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 |
출생 | 1929년 11월 11일 |
출생지 | 카우프보이렌, 바이마르 공화국 독일 |
사망 | 2022년 11월 24일 |
사망지 | 뮌헨, 독일 |
직업 | 작가 |
언어 | 독일어 |
국적 | 독일 |
교육 | 에를랑겐-뉘른베르크 대학교 |
장르 | 시 에세이 소설 |
대표작 | 수학 귀신 타이타닉호의 침몰 |
소속 그룹 | 47년 그룹 |
필명 | 안드레아스 탈마이어 (Andreas Thalmayr) 조르조 펠리치 (Giorgio Pellizzi) 린다 퀼트 (Linda Quilt) 엘리자베트 암브라스 (Elisabeth Ambras) |
친척 | 크리스티안 엔첸스베르거(Christian Enzensberger) |
![]() | |
수상 | |
수상 내역 | 게오르크 뷔히너 상 슈트루가 시의 밤 금관상 아스투리아스 공 커뮤니케이션 및 휴머니즘 상 하인리히 뵐 상 하인리히 하이네 상 그리핀 시 문학상 소닝 상 |
2. 생애와 경력
엔첸스베르거는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그리고 약간의 러시아어 등 여러 언어에 능통했으며, 이는 그의 폭넓은 여행을 통해 더욱 향상되었다.[1] 그는 작가 크리스티안 엔첸스베르거의 형이었다.[24] 마샤를 포함해 세 번 결혼했으며, 테레지아 엔첸스베르거de를 포함해 두 딸을 두었다.[25] 수학은 그의 열정이었다.[26]
노르웨이, 이탈리아, 멕시코, 쿠바, 미국, 서베를린 등 여러 곳에서 거주했으며, 1979년부터 뮌헨에서 살다가 2022년 11월 24일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8][4][27][28][29]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엔첸스베르거는 1929년 바이에른의 작은 도시인 카우프보이렌에서 4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2] 아버지 안드레아스 엔첸스베르거는 통신 기술자였고, 어머니 레오노레(레더만) 엔첸스베르거는 유치원 교사였다.[25][3] 나치 독일 시대를 직접 경험한 마지막 지식인 세대 중 한 명이었다. 1931년 가족과 함께 뉘른베르크로 이사했으며, 악명 높은 반유대주의 신문 ''데어 슈튀르머''의 발행인 율리우스 슈트라이허가 이웃에 살았다. 십 대 시절 히틀러 유겐트에 가입했지만 곧 제명되었다.[2]1949년 뇌르틀링겐에서 아비투어를 마친 후,[4] 에를랑겐, 프라이부르크,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문학과 철학을 공부했다. 파리 소르본 대학교에서 1955년 클레멘스 브렌타노의 시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5][6][7]
2. 2. 초기 문학 활동과 47 그룹
엔첸스베르거는 1949년 뇌르틀링겐에서 아비투어를 마친 후,[4] 에를랑겐, 프라이부르크,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문학과 철학을 공부했으며, 파리 소르본 대학교에서 1955년 클레멘스 브렌타노의 시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5][6][7] 1957년까지 알프레드 안데르슈와 함께 슈투트가르트에서 라디오 편집자로 일했으며,[16] 라디오 에세이에서 ''슈피겔''의 언어 스타일을 비판했다.[8]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문화를 형성한 기관인 47 그룹의 주요 작가 중 한 명이 되었다.[27][9] 1957년 47 그룹 회원인 잉게보르크 바흐만과 엔첸스베르거는 서신을 교환하기 시작했다.[10][11] 1957년 첫 시집 ''verteidigung der wölfe''(늑대의 방어), 1960년 ''landessprache''를 출간했는데, 두 시집 모두 원래 소문자로 쓰여졌다.[12][13] 이 시집들은 전장과 수용소에 있었던 사람들의 기성 세력에 대한 반대로 인식되었으며, "격렬하고, 우아하며, 통제된 분노"("furios, elegant und von kontrollierter Wut")로 묘사되었다.[1] 그는 영국 모델처럼 "zorniger junger Mann"(분노한 젊은이) 역할을 했다.[14] 1960년에는 당시에는 드물었던 원문과 번역을 병치하여 동시대 작가들의 시를 모은 시집인 ''Museum der modernen Poesie''(현대 시 박물관)의 편집인이었다.[1][15] 1960년부터 1961년까지 프랑크푸르트의 주어캄프에서 문학 편집자(Verlagslektorde)로 일했다.[16]2. 3. 비판적 지식인으로서의 활동
1962년 에세이집 ''Einzelheiten''을 출판하면서 그는 평생 유지해 온 비판적 지식인의 위치에 들어섰다.[14] 1965년부터 1975년까지 미국 웨슬리안 대학교 선임 연구원으로 재직했고, 쿠바에서 잠시 거주했다.[17][18] 1969년 작곡가 한스 베르너 헨체를 쿠바에 초청하여, 탈출한 노예 에스테반 몬테호의 기억을 바탕으로 한 바리톤과 3명의 기악 연주자를 위한 작품 ''엘 시마론''의 대본을 함께 작업했다.[19]1965년부터 잡지 ''Kursbuch (Zeitschrift)|쿠어스부흐de''를 편집했으며,[20] 그의 글은 1968년 서독 학생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27] 1985년부터는 프랑크푸르트에서 출판된 권위 있는 도서 시리즈 ''Die Andere Bibliothek|디 안데레 비블리오테크de''의 편집자로 활동하며 거의 250권에 달하는 책을 출간했다.[21] 리샤르트 카푸시킨스키, 라울 슈로트, 이렌 디셰, 크리스토프 란스마이어, W.G. 제발트 등 여러 작가들을 후원했다.[25] 가스통 살바토레와 함께 좌익 월간지 ''TransAtlantik|트란스아틀란티크de''를 창간했으나, 이 문학 잡지는 2년밖에 지속되지 못했다.[22]
1987년 저서 ''아흐 유럽! 바르네무웅엔 아우스 지벤 랜더른''에서 엔첸스베르거는 이미 오시(Ossi)와 베시(Wessi)라는 용어를 사용했다.[23] 1974년 저서 『의식 산업; 문학, 정치 및 미디어에 관하여』에서 "의식 산업"이라는 용어를 제시했는데, 이는 인간의 정신이 사회적 산물로 재생산되는 메커니즘을 가리킨다. 이 메커니즘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매스 미디어와 교육 기관이다. 엔첸스베르거에 따르면, 정신 산업은 특정한 것을 생산하지 않으며, 오히려 인간에 대한 인간의 지배라는 기존 질서를 영속시키는 것이 주된 사업이다.[44] 한스 하케는 더 넓은 생산, 유통, 소비 시스템에서 예술에 적용되는 의식 산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45] 특히 박물관이 지적, 정치적, 도덕적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미적 인식을 생산하는 기관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박물관은 지적이고 비판적인 인식을 후원하기보다는, 타협을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45]
2. 4. 국제적인 활동과 후기 경력
1965년부터 1975년까지 엔첸스베르거는 미국(웨슬리안 대학교 선임 연구원)과 쿠바에서 잠시 살았다.[17][18] 1969년 작곡가 한스 베르너 헨체를 쿠바에 초청했고, 탈출한 노예 에스테반 몬테호의 기억을 바탕으로 한 바리톤과 3명의 기악 연주자를 위한 헨체의 작품 ''엘 시마론''의 대본을 썼다.[19]
1965년부터 엔첸스베르거는 잡지 ''Kursbuchde''를 편집했으며,[20] 그의 글은 1968년 서독 학생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27] 1985년부터 프랑크푸르트에서 출판된 권위 있는 도서 시리즈 ''Die Andere Bibliothekde''의 편집자였으며, 거의 250권에 달했다.[21] 그는 리샤르트 카푸시킨스키, 라울 슈로트, 이렌 디셰, 크리스토프 란스마이어, W.G. 제발트를 포함한 작가들을 후원했다.[25] 가스통 살바토레와 함께 엔첸스베르거는 좌익 월간지 ''TransAtlantikde''의 창립자였으나,[22] 이 문학 잡지는 2년밖에 지속되지 못했다.[25]
1987년 그의 저서 ''아흐 유럽! 바르네무웅엔 아우스 지벤 랜더른''에서 엔첸스베르거는 이미 오시(Ossi)와 베시(Wessi)라는 용어를 사용했다.[23]
2009년 6월, 스페인 정부로부터 스페인 예술 문학 훈장을 수훈받았으며, Excelentísimo Señores로 예우받고 있다.
3. 작품 세계
엔첸스베르거는 시와 에세이 외에도 연극, 영화, 오페라, 라디오 드라마, 르포, 번역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했다. 소설과 어린이를 위한 책도 여러 권 썼는데, 그중에는 34개 언어로 번역된 수학 동화 ''숫자 악마''가 있다.[31]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교재 ''(Die Suche)''의 공동 저자이기도 하다.[32] 1974년 저서 『의식 산업; 문학, 정치 및 미디어에 관하여』에서 "의식 산업"이라는 용어를 제시하여, 매스 미디어와 교육 기관이 인간의 정신을 재생산하고 지배 질서를 영속화하는 메커니즘을 분석했다.[44] 한스 하케는 이를 예술 분야에 적용하여 박물관이 비판적 인식을 억압한다고 비판했다.[45]
그는 독일어 철자 개혁, 인터넷의 지배, 유럽 연합 건설을 비판했다.[39] 아담 자가예프스키, 라르스 구스타프손 등 여러 작가의 작품을 번역했으며,[40][2][41] 아이린 디셰와 함께 오페라 ''궁전''의 대본을 썼다.[42]
3. 1. 시
엔첸스베르거는 많은 시에서 냉소적이고 아이러니컬한 어조로 글을 썼다.[30] 예를 들어, 시 "중산층 블루스"는 중산층 삶의 다양한 전형적인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는 불평할 수 없다"라는 구절이 여러 번 반복되고, "우리는 무엇을 기다리고 있는가?"로 끝맺는다. 그의 많은 시는 또한 경제 및 계급 기반 문제에 대한 시민 불안의 주제를 특징으로 한다. 그는 주로 시인이자 에세이스트였지만, 연극, 영화, 오페라, 라디오 드라마, 르포, 번역에도 도전했다. 그는 소설과 어린이를 위한 여러 권의 책(34개 언어로 번역된 수학 탐구인 ''숫자 악마'' 포함)을 썼고,[31]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책인 ''(Die Suche)''의 공동 저자였다.[32] 그는 종종 자신의 시와 편지를 소문자로 썼다.[33] 2014년에 쓰여진 ''투물트''는 1960년대 그가 소련과 쿠바를 방문한 좌익 동조자였던 자전적 회고이다.[34][35] 그의 작품은 4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6]
엔첸스베르거는 또한 자동으로 시를 쓰는 기계(Landsberger Poesieautomatde)를 발명하고 제작하는 데 협력했다.[36] 이 기계는 2006년 FIFA 월드컵 기간 동안 경기에 대한 해설을 하는 데 사용되었다.[37][38]
엔첸스베르거는 아담 자가예프스키, 라르스 구스타프손, 파블로 네루다, W. H. 오든, 세사르 바예호를 번역했다.[40][2][41] 그의 장편 시 ''타이타닉의 몰락''을 각색한 연극 초연은 1980년 5월 7일 뮌헨 베르크라움테아터에서 게오르게 타보리의 연출로 상연되었다.[43]
- ''브렌타노의 시학''(Brentanos Poetik) 1961 『낭만주의로부터의 비상 - 브렌타노의 시법』
- ''시와 정치''(Poesie und Politik) 1962 『현대의 시와 정치』
- ''묘지. 진보의 역사로부터의 37편의 발라드''(Mausoleum. 37 Balladen aus der Geschichte des Fortschritts) 1975 『묘지 - 진보의 역사로부터의 37편의 발라드』
- ''타이타닉 침몰''(Der Untergang der Titanic) 1978 『타이타닉 침몰』
3. 2. 에세이
엔첸스베르거는 많은 시에서 냉소적이고 아이러니한 어조로 글을 썼다.[30] 예를 들어, 시 "중산층 블루스"는 중산층 삶의 다양한 전형적인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는 불평할 수 없다"라는 구절이 여러 번 반복되고, "우리는 무엇을 기다리고 있는가?"로 끝맺는다. 그의 많은 시는 또한 경제 및 계급 기반 문제에 대한 시민 불안의 주제를 특징으로 한다. 그는 주로 시인이자 에세이스트였지만, 연극, 영화, 오페라, 라디오 드라마, 르포, 번역에도 도전했다. 소설과 어린이를 위한 여러 권의 책(34개 언어로 번역된 ''숫자 악마'' 포함)을 썼으며,[31]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책인 ''(Die Suche)''의 공동 저자였다.[32] 그는 종종 자신의 시와 편지를 소문자로 썼다.[33] 2014년에 쓰여진 ''투물트''는 1960년대 그가 소련과 쿠바를 방문한 좌익 동조자였던 자전적 회고이다.[34][35] 그의 작품은 4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6]엔첸스베르거는 또한 자동으로 시를 쓰는 기계(Landsberger Poesieautomatde)를 발명하고 제작하는 데 협력했다.[36] 이 기계는 2006년 FIFA 월드컵 기간 동안 경기에 대한 해설을 하는 데 사용되었다.[37][38]
엔첸스베르거는 독일어 철자 개혁, 인터넷의 지배, 그리고 유럽 연합의 건설을 비판했다.[39]
아담 자가예프스키, 라르스 구스타프손, 파블로 네루다, W. H. 오든, 세사르 바예호를 번역했으며,[40][2][41] 아이린 디셰와 함께 살리넨의 다섯 번째 오페라 ''궁전''의 대본을 썼다.[42] 그의 장편 시 ''타이타닉의 몰락''을 각색한 연극의 초연은 1980년 5월 7일 뮌헨 베르크라움테아터에서 게오르게 타보리의 연출로 상연되었다.[43]
1974년 저서 『의식 산업; 문학, 정치 및 미디어에 관하여』는 "의식 산업"이라는 용어를 낳았는데, 이는 인간의 정신이 사회적 산물로 재생산되는 메커니즘을 식별한다. 이러한 메커니즘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매스 미디어와 교육 기관이다. 엔첸스베르거에 따르면, 정신 산업은 특정한 것을 생산하지 않으며, 오히려 인간에 대한 인간의 지배라는 기존 질서를 영속시키는 것이 주된 사업이다.[44] 한스 하케는 더 넓은 생산, 유통, 소비 시스템에서 예술에 적용되는 의식 산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45] 하케는 특히 박물관이 지적, 정치적, 도덕적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미적 인식을 생산하는 기관이라고 지목한다. "박물관은 지적이고 비판적인 인식을 후원하기보다는, 타협을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45]
다음은 엔첸스베르거의 주요 에세이 작품이다.
제목 | 출판 연도 | 한국어 번역 제목 (있는 경우) |
---|---|---|
브렌타노의 시학 (Brentanos Poetik) | 1961 | 낭만주의로부터의 비상 - 브렌타노의 시법 |
시와 정치 (Poesie und Politik) | 1962 | 현대의 시와 정치 |
정치와 범죄 (Politik und Verbrechen) | 1964 | 정치와 범죄 |
하바나 심문 (Das Verhör von Habana) | 1970 | 하바나의 심문 |
아나키의 짧은 여름 (Der kurze Sommer der Anarchie) | 1972 | 스페인의 짧은 여름 |
묘지. 진보의 역사로부터의 37편의 발라드 (Mausoleum. 37 Balladen aus der Geschichte des Fortschritts) | 1975 | 묘지 - 진보의 역사로부터의 37편의 발라드 |
타이타닉 침몰 (Der Untergang der Titanic) | 1978 | 타이타닉 침몰 |
아, 유럽! (Ach, Europa!) | 1987 | 유럽 반도 |
평범함과 광기 (Mittelmaß und Wahn) | 1988 | 독일은 어디로 가는가? |
어떤 낭만적인 여성을 위한 진혼곡 (Requiem für eine romantische Frau) | 1988 | 「사랑」의 악마 |
대이동 (Die Große Wanderung) | 1992 | 국제 대이동 |
내전의 전망 (Aussichten auf den Burgerkrieg) | 1993 | 냉전에서 내전으로 |
수학 악마 (Der Zahlenteufel) | 1997 | 수의 악마 |
로베르트, 넌 어디 있었니? (Wo warst du, Robert?) | 1998 | 로베르트는 역사의 천사 |
작동 중지된 도개교: 문화의 저편에 있는 수학 (Zugbrücke außer Betrieb: Die Mathematik im Jenseits der Kultur) | 1999 | 수학자는 성 안에? |
하머슈타인 혹은 완고함 (Hammerstein oder der Eigensinn) | 2008 | 고집불통 하머슈타인 |
빕스 (Bibs) | 2009 | 빕스의 이상한 모험 |
항상 돈! (Immer das Geld!) | 2015 | 돈의 악마 펠 아줌마의 경제학 강의 |
3. 3. 기타 장르
엔첸스베르거는 시인이자 에세이스트로 주로 활동했지만, 연극, 영화, 오페라, 라디오 드라마, 르포, 번역 등 다양한 장르에서도 활동했다. 소설과 어린이를 위한 책도 여러 권 썼는데, 그중에는 34개 언어로 번역된 수학 관련 도서 ''숫자 악마''도 있다.[31]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교재 ''(Die Suche)''의 공동 저자이기도 하다.[32] 그는 자신의 시와 편지에 소문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33] 2014년에 출간된 ''투물트''는 1960년대 소련과 쿠바를 방문했던 그의 좌익 성향을 담은 자전적 회고록이다.[34][35] 그의 작품은 4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6]엔첸스베르거는 자동으로 시를 생성하는 기계(Landsberger Poesieautomatde)를 발명하고 제작하는 데 참여했다.[36] 이 기계는 2006년 FIFA 월드컵 기간 동안 경기 해설을 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37][38]
그는 독일어 철자 개혁, 인터넷의 지배, 유럽 연합 건설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39]
아담 자가예프스키, 라르스 구스타프손, 파블로 네루다, W. H. 오든, 세사르 바예호 등의 작품을 번역했으며,[40][2][41] 아이린 디셰와 함께 살리넨의 오페라 ''궁전''의 대본을 쓰기도 했다.[42] 그의 장편 시 ''타이타닉의 몰락''을 각색한 연극은 1980년 5월 7일 뮌헨 베르크라움테아터에서 게오르게 타보리 연출로 초연되었다.[43]
원제 | 한국어 번역 제목 |
---|---|
Brentanos Poetik (1961) | 『낭만주의로부터의 비상 - 브렌타노의 시법』 |
Poesie und Politik (1962) | 『현대의 시와 정치』 |
Politik und Verbrechen (1964) | 『정치와 범죄』 |
Das Verhör von Habana (1970) | 『하바나의 심문』 |
Der kurze Sommer der Anarchie (1972) | 『스페인의 짧은 여름』 |
Mausoleum. 37 Balladen aus der Geschichte des Fortschritts (1975) | 『묘지 - 진보의 역사로부터의 37편의 발라드』 |
Der Untergang der Titanic (1978) | 『타이타닉 침몰』 |
Ach, Europa! (1987) | 『유럽 반도』 |
Mittelmaß und Wahn (1988) | 『독일은 어디로 가는가?』 |
Requiem für eine romantische Frau (1988) | 『「사랑」의 악마』 |
Die Große Wanderung (1992) | 『국제 대이동』 |
Aussichten auf den Burgerkrieg (1993) | 『냉전에서 내전으로』 |
Der Zahlenteufel (1997) | 『수의 악마』 |
Wo warst du, Robert? (1998) | 『로베르트는 역사의 천사』 |
Zugbrücke außer Betrieb: Die Mathematik im Jenseits der Kultur (1999) | 『수학자는 성 안에?』 |
Hammerstein oder der Eigensinn (2008) | 『고집불통 하머슈타인』 |
Bibs (2009) | 『빕스의 이상한 모험』 |
Immer das Geld! (2015) | 『돈의 악마 펠 아줌마의 경제학 강의』 |
4. 주요 작품 목록
제목 | 원제 | 출판 연도 | 비고 |
---|---|---|---|
늑대의 방어 : 시 | verteidigung der wölfe|늑대의 방어de: Gedichte|시de | 1957년 | |
국어. 시. | landessprache.|국어de Gedichte.|시.de | 1960년 | |
브렌타노의 시학 | Brentanos Poetik|브렌타노의 시학de | 1961년 | 낭만주의로부터의 비상 - 브렌타노의 시법 |
시와 정치 | Poesie und Politik|시와 정치de | 1962년 | 현대의 시와 정치 |
모든 종류의 소리, 많은 아름다운 어린이 시 | Allerleirauh, viel schöne Kinderreime|모든 종류의 소리, 많은 아름다운 어린이 시de | 1961년 | |
세부 사항, I. 의식 산업 | Einzelheiten, I. Bewußtseins-Industrie|세부 사항, I. 의식 산업de | 1962년 | |
정치와 범죄 | Politik und Verbrechen|정치와 범죄de | 1964년 | |
독일, 무엇보다도 독일 : 정치에 대한 발언 | Deutschland, Deutschland unter anderm: Äußerungen zur Politik|독일, 무엇보다도 독일 : 정치에 대한 발언de | 1967년 | |
점자 | blindenschrift|점자de | 1967년 | |
정치와 범죄 : 아홉 개의 기고문 | Politik und Verbrechen: neun Beiträge|정치와 범죄 : 아홉 개의 기고문de | 1967년 | |
파라버 : 정치적 고찰 (1967-1973) | Palaver: politische Überlegungen (1967-1973)|파라버 : 정치적 고찰 (1967-1973)de | 1967년 | |
하바나 심문 | Das Verhör von Habana|하바나 심문de | 1970년 | 하바나의 심문 |
무정부주의의 짧은 여름; 부에나벤투라 두루티의 삶과 죽음. 소설. | Der kurze Sommer der Anarchie; Buenaventura Durrutis Leben und Tod. Roman.|무정부주의의 짧은 여름; 부에나벤투라 두루티의 삶과 죽음. 소설.de | 1972년 | 스페인의 짧은 여름 |
마르크스와 엥겔스와의 대화 | Gespräche mit Marx und Engels|마르크스와 엥겔스와의 대화de | 1973년 | |
영묘 : 진보의 역사에 관한 37개의 발라드 | Mausoleum: 37 Balladen aus der Geschichte des Fortschritts|영묘 : 진보의 역사에 관한 37개의 발라드de | 1975년 | |
정치적 빵 부스러기 | Politische Brosamen|정치적 빵 부스러기de | 1982년 | |
세부 사항 II : 시와 정치 | Einzelheiten II: Poesie und Politik|세부 사항 II : 시와 정치de | 1984년 | |
아, 유럽! : 일곱 개 국가에서 얻은 인식 : 2006년의 에필로그 포함 | Ach, Europa!: Wahrnehmungen aus sieben Ländern: mit einem Epilog aus dem Jahre 2006|아, 유럽! : 일곱 개 국가에서 얻은 인식 : 2006년의 에필로그 포함de | 1987년 | 유럽 반도 |
평균과 망상 : 수집된 산만함 | Mittelmaß und Wahn: gesammelte Zerstreuungen|평균과 망상 : 수집된 산만함de | 1988년 | 독일은 어디로 가는가? |
어떤 낭만적인 여성을 위한 진혼곡 | Requiem für eine romantische Frau|어떤 낭만적인 여성을 위한 진혼곡de | 1988년 | 「사랑」의 악마 |
미래의 음악 | Zukunftsmusik|미래의 음악de | 1991년 | |
공기의 딸 : 연극 : 칼데론 데 라 바르카의 스페인어에 따른 | Die Tochter der Luft: Schauspiel: nach dem Spanischen des Calderón de la Barca|공기의 딸 : 연극 : 칼데론 데 라 바르카의 스페인어에 따른de | 1992년 | |
대이동 | Die Große Wanderung|대이동de | 1992년 | 국제 대이동 |
내전의 전망 | Aussichten auf den Burgerkrieg|내전의 전망de | 1993년 | 냉전에서 내전으로 |
거대한 방랑, 33개의 마킹; "인간 사냥의 몇 가지 특징"에 대한 각주와 함께 | Die grauenvolle Verwüstung: 33 Markierungen; mit einem Anhang zu "Einigen Besonderheiten der Menschenjagd"|거대한 방랑, 33개의 마킹; "인간 사냥의 몇 가지 특징"에 대한 각주와 함께de | 1994년 | |
지그재그 : 에세이 | Zickzack: Essays|지그재그 : 에세이de | 1997년 | |
Baukasten zu einer Theorie der Medien|바우카스텐 추 아이너 테오리 데어 메디엔de : 언론 자유에 대한 비판적 담론 | Baukasten zu einer Theorie der Medien|바우카스텐 추 아이너 테오리 데어 메디엔de | 1997년 | |
숫자 악마 : 수학을 두려워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베개 책 | Der Zahlenteufel: ein Kopfkissenbuch für alle, die Angst vor der Mathematik haben|데어 찰렌토이펠: 아인 코프키센부흐 퓌어 알레, 디 앙스트 포어 데어 마테마티크 하벤de | 1997년 | 수의 악마 |
Wo warst du, Robert?|보 바르스트 두, 로베르트?de | Wo warst du, Robert?|보 바르스트 두, 로베르트?de | 1998년 | 로베르트는 역사의 천사 |
작동 중지된 도개교: 문화의 저편에 있는 수학 | Zugbrücke außer Betrieb: Die Mathematik im Jenseits der Kultur|축브뤼케 아우서 베트리프: 디 마테마티크 임 옌자이츠 데어 쿨투어de | 1999년 | 수학자는 성 안에? |
공기보다 가볍게 : 도덕적 시 | Leichter als Luft: Moralische Gedichte|라이히터 알스 루프트: 모랄리셰 게디히테de | 1999년 | |
시, 1950-2005 | Gedichte 1950–2005|게디히테 1950–2005de | 2006년 | |
공포의 남자들 : 급진적 패자에 대한 시도 | Schreckens Männer: Versuch über den radikalen Verlierer|슈레켄스 메너: 페어주흐 위버 덴 라디칼렌 페어리러de | 2006년 | |
지능의 미로에서 : 바보를 위한 안내서 | Im Irrgarten der Intelligenz: ein Idiotenführer|임 이르가르텐 데어 인텔리겐츠: 아인 이디오텐퓌러de | 2006년 | |
해머스타인, 또는, 완고함 : 독일의 역사 | Hammerstein, oder, Der Eigensinn: eine deutsche Geschichte|함머슈타인, 오더, 데어 아이겐진: 아이네 도이체 게쉬히테de | 2008년 | 고집불통 하머슈타인 |
빕스 | Bibs|빕스de | 2009년 | 빕스의 이상한 모험 |
항상 돈! | Immer das Geld!|이머 다스 겔트!de | 2015년 | 돈의 악마 펠 아줌마의 경제학 강의 |
5. 수상 내역
연도 | 상 이름 | 비고 |
---|---|---|
1951–1954 | 독일 국민 학술 재단 장학금[7] | |
1963 | 게오르크 뷔히너 상[46] | |
1980 | 스트루가 시의 황금 화환[47] | |
1985 | 하인리히 뵐 상[48] | |
1993 | Erich-Maria-Remarque-Friedenspreis|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평화상de[49] |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
1997 | 에른스트 로베르트 쿠르티우스 상[50] | |
1998 | 뒤셀도르프의 하인리히 하이네 상[51] | |
1999 | 푸어 르 메리트 훈장 (예술과학 부문)[52] | |
2002 | 아스투리아스 왕세자상 (커뮤니케이션 및 인문학 부문)[53] | |
2002 | 루드비히 뵈르네 상[54] | |
2009 | 그리핀 시상식 평생 공로상[48] | |
2009 | 소닝 상[55] | "유럽 문화 발전에 기여한 훌륭한 업적"을 기리기 위해 수여 |
2012 | 뉴욕 바드 칼리지 명예 학위[56] | |
2015 | Frank-Schirrmacher-Preis|프랑크 쉬르마허 상de[25] | |
2017 | 시와 사람들 국제 시 문학상[57] |
참조
[1]
뉴스
Hans Magnus Enzensberger: So leicht und elegant wie niemand in Deutschland
https://www.faz.net/[...]
2022-11-25
[2]
웹사이트
A life in writing: Hans Magnus Enzensberger
https://www.theguard[...]
2014-08-03
[3]
뉴스
Hans Magnus Enzensberger, Leading Light in German Letters, Dies at 93
https://www.nytimes.[...]
2022-12-03
[4]
뉴스
Intellektueller: Hans Magnus Enzensberger mit 93 Jahren gestorben
https://www.leonberg[...]
2022-11-26
[5]
서적
Über das dichterische Verfahren in Clemens Brentanos lyrischem Werk
https://books.google[...]
Friedrich-Alexander Universität, Erlangen
2022-11-25
[6]
웹사이트
Griffin Poetry Prize Lifetime Recognition Award profile
http://www.griffinpo[...]
[7]
문서
Studienstiftung 90 Jahre, 90 Köpfe
https://www.studiens[...]
[8]
웹사이트
Hans Magnus Enzensberger: Radio-Essay "Die Sprache des SPIEGEL"
https://www.spiegel.[...]
2022-11-26
[9]
웹사이트
German author Hans Magnus Enzensberger dies – DW – 11/25/2022
https://www.dw.com/e[...]
2022-11-25
[10]
웹사이트
Enzensberger – Annäherung zweier Ungleicher
https://www.deutschl[...]
2022-11-26
[11]
서적
"Schreib alles was wahr ist auf" : der Briefwechsel
2018
[12]
웹사이트
Von Hans Magnus Enzensberger lernen
https://www.boell.de[...]
2022-11-26
[13]
웹사이트
Enzensbergers frühe politische Lyrik / vorgelegt von Elvis Rroji
http://unipub.uni-gr[...]
2022-11-26
[14]
뉴스
Nachruf auf Hans Magnus Enzensberger: Zeitlebens heiteres Kind
https://taz.de/!5898[...]
2022-11-26
[15]
서적
Museum der modernen Poesie mehrsprachige Ausgabe
2002
[16]
웹사이트
Hans Magnus Enzensberger
https://whoswho.de/b[...]
2022-11-27
[17]
잡지
On Leaving America
https://www.nybooks.[...]
2022-11-27
[18]
잡지
A New Translation of an Anti-Heroic German Doorstopper of 1968
https://www.newyorke[...]
2018-11-26
[19]
웹사이트
Hans Werner Henze: "El Cimarrón"
http://www.elcimarro[...]
2022-11-26
[20]
웹사이트
Über das Kursbuch
http://kursbuch-onli[...]
2014-08-03
[21]
뉴스
"Andere Bibliothek": Hans Magnus Enzensberger will kündigen
http://www.spiegel.d[...]
2014-08-03
[22]
웹사이트
Zeitschriften
https://www.literatu[...]
[23]
서적
Wende und Einheit im Spiegel der deutschsprachigen Literatur : ein Handbuch. Band 1, Untersuchungen
W. de Gruyter
2003
[24]
웹사이트
Interview mit Hans Magnus Enzensberger
http://www.a-e-m-gmb[...]
2014-08-03
[25]
웹사이트
Hans Magnus Enzensberger ist tot – 25.11.2022
https://www.dw.com/d[...]
2022-11-26
[26]
웹사이트
Enzensberger-Essay: Die Mucken der Mathematik
https://www.spiegel.[...]
2022-11-26
[27]
뉴스
"Er war eine intellektuelle Instanz, die wir schmerzlich vermissen werden"
https://www.sueddeut[...]
2022-11-25
[28]
웹사이트
Hans Magnus Enzensberger ist tot
https://www.spiegel.[...]
2022-11-25
[29]
웹사이트
Autor Hans Magnus Enzensberger mit 93 Jahren gestorben
https://www.sueddeut[...]
2022-11-25
[30]
웹사이트
Mit englischer Behendigkeit Hans Magnus Enzensberger als Nachdichter
http://www.literatur[...]
literaturkritik.de
2014-08-03
[31]
웹사이트
Aktuelles
https://www.hanser-l[...]
2022-11-27
[32]
서적
Die Suche / Bd. 1 Materialien. 1, Textbuch.
Langenscheidt
1993
[33]
뉴스
Im Alter von 93 Jahren: Schriftsteller Hans Magnus Enzensberger gestorben
https://rp-online.de[...]
2022-11-26
[34]
서적
Tumult
2014
[35]
웹사이트
Hans Magnus Enzensberger
https://www.deutschl[...]
2022-11-27
[36]
서적
Einladung zu einem Poesie-Automaten
Suhrkamp
2000
[37]
웹사이트
Press Release: The Artistic and Cultural Programme of the Federal Government for the 2006 FIFA World Cup Germany
http://www.sportcal.[...]
2017-05-09
[38]
웹사이트
Warum man einen Poesie-Automaten baut...
http://www.zeit.de/f[...]
2006-01-25
[39]
웹사이트
Deutsche Denkerikone wurde 93 – Dichter, Denker, Draufgänger: Hans Magnus Enzensberger gestorben
https://www.srf.ch/k[...]
2022-11-25
[40]
서적
Encyclopedia of German literature
Fitzroy Dearborn Publishers/Routledge
2000
[41]
뉴스
Rezension: Sachbuch: Frischer Wind vom Paradies
https://www.faz.net/[...]
1999-11-11
[42]
웹사이트
Some Thoughts on The Palace by Aulis Sallinen, 1995. At the Music Finland site.
https://web.archive.[...]
[43]
웹사이트
Der Untergang der Titanic. Theaterstück und Hörspiel von Hans Magnus Enzensberger
https://www.suhrkamp[...]
2021-06-16
[44]
서적
The Consciousness Industry: On Literature, Politics and the Media
Continuum Books/ Seabury Press
1974
[45]
서적
"Museums: Managers of consciousness,"
Richter
2006
[46]
웹사이트
Awards – Georg-Büchner-Preis – Hans Magnus Enzensberger
https://www.deutsche[...]
[47]
웹사이트
Poet Ko Un receives Golden Wreath Award
https://www.koreaher[...]
2014-08-25
[48]
웹사이트
Hans Magnus Enzensberger
https://www.poetryfo[...]
2022-11-25
[49]
웹사이트
1993: Hans Magnus Enzensberger und Dörte von Westernhagen (Sonderpreis)
https://friedensstad[...]
2022-05-31
[50]
웹사이트
Projekt: Ernst-Robert-Curtius-Preis
https://liton.nrw/pr[...]
[51]
웹사이트
Preisverleihung: Heine-Preis an Enzensberger
https://www.wienerze[...]
1998-12-14
[52]
웹사이트
Pour le Mérite: Hans Magnus Enzensberger
http://www.orden-pou[...]
2018
[53]
웹사이트
Hans Magnus Enzensberger – Princess of Asturias Awards – The Princess of Asturias Foundation
https://www.fpa.es/e[...]
[54]
뉴스
Auszeichnung: Goettle statt Enzensberger: Wie der Börne-Preis umgeleitet wurde
https://www.faz.net/[...]
2002-06-02
[55]
뉴스
Europa-Polemik zum Sonning-Preis: Wehrt euch gegen die Bananenbürokratie!
https://www.faz.net/[...]
2010-02-03
[56]
웹사이트
Bard College Holds One Hundred Fifty-Second Commencement on Saturday, May 26, 2012
https://web.archive.[...]
2012-05-26
[57]
웹사이트
German Poet Hans Magnus Enzensberger is Given the "Poetry and People – International Poetry Prize"
https://sanjiaoling.[...]
2017-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